Zeugodacus depressus (Shiraki, 1933)
Read more
1. 학 명: Zeugodacus depressus Shiraki, 1933
이 명: Zeugodacus bezzianus Hering, 1941
2. 일반명: Pumpkin fruit fly, 호박과실파리
3. 분류학적 위치: Diptera (파리목), Tephritidae (과실파리과)
4. 분 포
○ 아시아: 한국, 일본, 대만(국립농업과학원, 2024)
※ 호박과실파리는 1933년 일본에서 최초로 기록되었으며(Shiraki, 1933), 우리나라에서는 1974년 전라남도 광양시 백양산에서 처음으로 채집 기록된 후(Kim and Kim, 1974), 완도군 보길도, 자개도와 강원도 설악산에서 채집이 기록된 바 있다(Kim and Chang, 1982; Kwon, 1985)(Kim and Kim, 2016).
5. 기 주
○ 주기주: 호박(Cucurbita moschata; 화초호박, 단호박), 박(Lagenaria siceraria; 조롱박)(Han et al., 1994)
○ 기타기주: 수박(Citrullus lanatus), 참외(Cucumis melo)(Han et al., 1994), 오이(Cucumis sativus), 토마토(Solanum lycopersicum)(국립농업과학원, 2024)
○ 야생기주: 노랑하늘타리(Trichosanthes kirilowii)(Kim et al., 2011; 국립농업과학원, 2024)
6. 형 태
○ 성충: 성충은 몸길이가 10mm 내외이고, 몸색은 옅은 황색~황갈색이며, 때때로 어두운 색인 것 등 변화가 많다. 앞가슴 등면에 검은색 부분이 있으며, 날개는 끝부분에만 어두운 색 반점이 있다(국립농업과학원, 2024). 대형의 Zeugodacus속에 속하는 종이다. 얼굴은 황갈색에 1쌍의 타원형 흑색 점이 측면 하단부 가까이 있으며, 3쌍의 이마센털 중 앞쪽 2쌍은 가깝게 근접해 있다. 안와센털은 1쌍이다. 방패판의 전반부 중앙부위는 갈색이며 어깨돌기 뒤는 흑색이다. 어깨돌기 후반 2/3부분은 흑색이나 작은방패판 앞으로는 황갈색을 띤다. 방패판 횡단봉합선 뒤쪽 양옆에는 1쌍의 뚜렷한 황색 세로띠가 작은방패판 측면 전방의 인트라알라센털에서 끝나며, 황색 중앙세로띠는 측면 띠보다 훨씬 짧다. 작은방패판과 어깨돌기, 날개 앞쪽에서 측판 하단 부근까지 황색이다. 작은방패판에는 2쌍의 센털이 있다. 다리는 전체적으로 황갈색이다. 날개는 투명하며 좁은 갈색 띠가 전단부를 따라 R4+5 맥을 약간 지나서 끝나며, 끝 부분이 크게 확장되어 있다. 추가로 bcu 맥실과 A맥을 따라 넓은 갈색 띠가 있다. 복부 등판들은 황갈색-갈색 바탕에 흑갈색 무늬가 있으며 중앙 세로무늬가 보이며, 제3등판의 가로무늬와 함께 희미하게라도 T-자를 형성한다. 제4~5등판 측면에도 각각 좁은 흑색 가로무늬가 있다. 암컷의 산란통은 황갈색이며 제4~5등판을 합한 길이와 비슷하다(Han et al., 2017).


○ 유충: 노숙하면 몸길이가 13mm 내외이고, 황백색이다(국립농업과학원, 2024).

○ 번데기: 몸길이가 7mm 내외이고, 섬모양으로 황갈색이다(국립농업과학원, 2024).
○ (진단형질) 언뜻 보기에 동남아에 널리 분포하는 Bactrocera tau와 비슷하나, 복부의 T-무늬가 덜 명확하며, 복부의 가로무늬들이 좁고, 다리가 거의 황갈색이며, 날개 말단의 흑색 점이 훨씬 좁은 것으로 쉽게 구분이 가능하다.
7. 생 태
○ 성충은 과실의 표면에서 내부로 산란관을 찔러 산란한다. 유충은 내부를 식해하며, 노숙하면 과실에서 탈출하여 땅속에서 번데기가 되고, 월동한다. 발생은 연 1회로 호박에서는 8~10월에 피해가 나타난다. 고랭지나 산간부에서 발생이 많고, 피해는 국지적이다(국립농업과학원, 2024).
○ 호박과실파리는 번데기로 토양에서 월동하며, 우리나라에서는 연 1회 발생하는데, 우화최성기는 5월 하순에서 6월 상순에 나타나고 보통 7월 중하순부터 산란흔이 관찰된다(Kang et al., 2008). 성충은 경작지 근처 숲 또는 관목에서 서식하다가 생식연령이 되면 광도가 약해지는 해질 무렵에 교미하고(Kim and Jeon, 2008) 작물 재배지로 침입하여 산란하는데, 알 기간 10일 내외, 유충 기간은 30일로 알려져 있으며 산란전 기간은 1개월 이상 긴 것으로 알려져 있다(Kim and Kim, 2002). 월동번데기가 성충으로 우화하는 데 발육기간은 15℃에서 59.0일, 20℃에서 39.3일, 25℃에서 25.8일, 30℃에서 21.4일이었고 35℃에서는 발육하지 못하였으며, 발육영점온도는 6.8℃, 적산온도는 482.3 일도로 추정되었다(Kang et al., 2008)(Kim and Kim, 2016).
○ 호박과실파리는 아직 특별한 유인제가 알려져 있지 않으나 Brewer hydrolysate (양조용 효모) 및 Torula (효모) 등 단백질 먹이에 유인력(Kim et al., 2010)을 보이고, 휴식기주(roosting host)가 인접한 경우 유인력이 증가하였다(Kim et al., 2012). 트랩 종류에서는 McPhail 트랩에 잘 유인되었다(Kim and Kim, 2002). 실내환경 조건에서 호박 추출물은 호박과실파리에 우수한 유인반응과 산란유도 반응을 유발하였으나, 포장조건에서 추출물(휘발성분)의 단일성분인 (R)-(+)-limonene, nonyl aldehyde, p-cymene, octyl aldehyde, 2-ethyltoluene, 3-ethyltoluol, cumene 등을 유인제로 사용한 경우 유인되지 않았다(Kim et al., 2012)(Kim and Kim, 2016).
○ 호박과실파리 예찰과 관련하여 백색이나 황색 평판 끈끈이트랩을 지상부 1m 위치에 설치하는 방안이 제안되었다(Jeon, 2009). 야외에서 색에 대한 호박과실파리의 유인반응은 색별 차이가 크지 않았고 청색에는 유인효과가 없었다(Kim and Kim, 2002). 실내조건에서 호박과실파리의 색에 대한 유인반응은 진한 녹색 > 연한 녹색 > 황색 > 식물체 순이었으며, 원판보다는 구(球) 형태에 선호도가 높았으나 포장조건에서는 유인력이 없었다(Kim et al., 2011)(Kim and Kim, 2016).
8. 피 해
○ 피해 발생은 유충에 의한 과육의 식해와 낙과이다(국립농업과학원, 2024). 농경지에서 경제적 피해는 1990년 전남 곡성지방의 산간 고랭지 수박에서 확인되었다(Han et al., 1994).
○ 1991~1992 전국조사 결과, 호박에서 평균 피해과율은 43.5%로 보고되었으며, 강원도, 전남, 전북, 충북 등의 산간지역에서 피해가 주로 발생하였는데, 표고 300~399 미터 지역에서 발생 빈도수가 가장 높다(Han et al., 1994).
9. 기 타
○ 우리나라에서 농업해충으로 중요한 과실파리류는 호박과실파리(Zeugodacus depressus)와 호박꽃과실파리(Zeugodacus scutellatus) 2종이 포함되어 있다(Kim and Kim, 2016).
○ (방제약제 선발) 방제약제 선발을 위한 실내 토양혼화 처리실험에서 terbufos, ethoprophos, carbofuran 등 입제는 유충에 50~80% 살충률을 보였으며, 번데기에 처리 시 성충이 우화하지 못하였다(Jeon, 2009). 또한 반포장조건에서 GF-120 처리 후 24 시간, spinosad 처리 후 3 일에 100% 사망하였다. 기타 호박과실파리 산란방지를 위한 봉지 씌우기 재배 등 물리적 방제기술이 제시되었다(NIHHS, 2013)(Kim and Kim, 2016).
○ (등록된 약제) 호박과실파리 방제용으로 단호박과 호박 등에 등록된 살충제로는 디클로르보스․람다사이할로트린 분산성액제, 디플루벤주론 입상수화제, 사이안트라닐리프롤 유제, 아바멕틴․클로란트라닐리프롤 액상수화제가 있으며, 성충 발생초기 7일 간격으로 살포한다(한국작물보호협회, 2024 접속).
10. 참고문헌
Han, H.Y., Choi, D.S., Ro, K.E. 2017. Taxonomy of Korean Bactrocera (Diptera: Tephritidae: Dacinae) with review of their biology. Journal of Asia-Pacific Entomology 20: 1321-1332.
Han, M.J., Lee, S.H., Ahn, S.B., Choi, J.Y., Choi, K.M. 1994. Distribution, damage and host plants of pumpkin fruit fly, Paradacus depressa (Shiraki). RDA J. Agri. Sci. 36: 346-350.
Jeon, H.Y. 2009. Population phenology and developing manage ment system for pumpkin fruit fly, Bactrocera depressa (Diptera: Tephritidae), in pumpkin fields. Final Report of RDA Research Project. 116 pp. No. 11-1390000-00226-01.
Kang, T.J., Kim, H.H., Kim Jeon, H.Y., Yang, C.Y., Kim, D.S. 2008. Population phenology and an early season adult emergence model of pumpkin fruit fly, Bactrocera depressa (Diptera: Tephritidae). Kor. J. Agric. For. Meteor. 47: 407-411.
Kim, C.W., Kim, J.L. 1974. Insect fauna of national park, Mt. Naejang-san in summer season. Rep. Kor. Cons. Nat. 8, 85-126.
Kim, D.S., Kang, T.J., Jeon, H.Y. 2011. A preliminary study for the visual response of Bactrocera depressa (Tephritidae:Diptera) in the laboratory environment. J. Subtrop. Agri. Biotechnol. 27: 39-44.
Kim, D.S., Jang, Y.S., Choi, K.S., Kang, T.J., Jeon, H.Y. 2012. Olfactory responses of Bactrocera depressa (Diptera: Tephritidae) in the field and laboratory. J. Subtrop. Agri. Biotechnol. 28: 33-44.
Kim, J.I., Chang, K.S. 1982. On the summer seasonal insects from the group of Soan island, Wando-kun. Rep. Survey Nat. Environ. Korea. 2: 161-184.
Kim, T.H., Jeon, S.W. 2008. Mating behavior of the pumpkin fruit fly [Bactrocera (Paradacus) depressa (Shiraki)] in a field cage. Kor. J. Appl. Entomol. 47: 487-490.
Kim, T.H., Kim, J.S. 2002. Annual occurrence and bionomics of the pumpkin fruit fly [Bactrocera (Paradacus) depressa Shiraki]. Kor. J. Soil Zool. 7: 1-5.
Kim, Y., Kim, D.S. 2016. Integrated Pest Management Against Bactrocera Fruit Flies. Kor. J. Appl. Entomol. 55(4): 359-376.
NIHHS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and Herbal Science). 2013. Annual report for horticulture and herbal research. NIHHS, RDA. 182 pp. No. 11-1390804-000054-10.
Shiraki, T. 1933. A systematic study of Trypetidae in the Japanese empire. Memoirs of the Faculty of Science and Agriculture. Taihoku Imperial University 8: 90-91.
국립농업과학원. 2024. 현장에서 바로 보는 채소해충 도감. ㈜삼미디자인출판. 전주. 202 pp.
한국작물보호협회. 2024(접속). 호박과실파리의 등록약제. [https://www.koreacpa.org/]